THE TRINITY
  • ABOUT US
  • art + business
  • THE TRINITY GALLERY
  • LG U+ Art Gallery
  • ARTIST
  • media
  • Contact
  • ★ARTSY
  • Introduction
  • Works
  • Installation Views
  • Artist
  • Press
<
>
Picture


HiKR Art Museum 2nd Special Exhibition

축제미술관(Fest Art Museum)



화가의 옷 - 축제 展

2022. 11. 29 (TUE) - 2023. 3. 29 (WED)

ARTIST  |  배준성 (b.1967)




학력 (Education)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B.F.A. College of Fine Arts, Seoul National University)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원 서양화과 졸업(M.F.A.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소장처 (Collections)

국립현대미술관(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경기도미술관(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서울시립미술관(Seoul Museum of Art), 한국민속촌(Korean folk Village), 세브란스병원(Severance Hospital), 보령제약(Boryung Co.), 한미제약(Hanmi Pharm.),
루이비통 재단(LVMH), 케어링 그룹(Kering Group), 프랑스 퐁피두 센터(Centre Pompidou), 프랑스 보자르미술관(Beaux Art Museum)
외 다수


축제, 화가의 옷을 입다.
 
한국관광공사의 축제미술관(Fest Art Museum)은 축제와 예술이 만나는 공간으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현대미술 아티스트가 우리나라 고유의 지역축제를 재해석한 전시를 선보입니다. 축제미술관의 두 번째 특별전인 「화가의 옷 – 축제(The Costume of Painter – Festival)」에서는 자연과 생태자원을 활용한 문화관광축제 - ‘담양대나무축제’, ‘시흥갯골축제’, ‘정남진장흥물축제’, ‘함평나비대축제’가 배준성 작가만의 시선 및 그만의 회화 기법으로 구현한 하나의 특별 커미션 작품으로 표현되었습니다.
아티스트 배준성은 작품을 보는 각도에 따라 이미지가 변하는 ‘렌티큘러 회화의 선구자’로, 세계 3대 아트페어인 영국 프리즈 아트페어(Frieze London), 스위스 아트바젤(Art Basel), 프랑스 피악 아트페어(FIAC)에서 각광받은 대한민국 대표 아트페어 1세대로 불리는 현대미술 아티스트입니다.
그의 대표 연작 <화가의 옷(The Costume of Painter)>은 인물이나 정물 사진 위에 투명한 비닐을 덮고 그 위에 물감으로 덧칠을 하는 초기 작업으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작가는 고전 명화 속 모델의 의복, 일상 속 정물 그리고 배경을 현재의 공간에 배치하여, 특정 소재에 대해 새로운 의미를 부여합니다. 최근 작품에는 미술관이나 작업실에서 어린 소녀가 동물과 식물을 순수한 시선으로 바라보는데, 이는 자연과 생태 속에서 인간과 동식물의 공존의 중요성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작가의 연작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한국의 아름다운 풍경이 혼합된 이미지인 ‘화가의 옷’을 입은 네 가지 축제로 생경하게 구현됩니다.
네 가지 문화관광축제는 작품 속에서 각각 하나의 작은 프레임으로 표현되어 공간적 한계를 초월한 동시성을 담아냅니다. 파릇한 봄과 겨울 설경의 상반되는 계절 속에서 돋보이는 죽녹원의 대나무가 묘사된 ‘담양대나무축제’, 형형색색의 나비들의 율동감이 표현된 ‘함평나비대축제’의 함평 엑스포 공원 꽃밭, 노을 빛이 내려 앉은 핑크뮬리 절경이 신비로운 ‘시흥갯골축제’의 생태공원, ‘정남진장흥물축제’는 청정 자연인 장흥댐 호수의 고요하고 푸른빛이 표현되었습니다.
작가는 이처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문화관광축제의 본질을 새로운 시각을 통해 접근하고 조화하여 축제의 새로움과 함께 지속 가능한 자연과 생태의 중요성을 전하고자 합니다. 문화체육관광부 및 한국관광공사 지정 문화관광축제는 지역의 특산물, 전통문화·민속, 관광자원 등 다양한 소재로 지역 관광 및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였으며, 대한민국 대표 축제를 넘어 세계적인 축제로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Festival : Dressed in “The Costume of Painter”
 
A space where Festival meets Art, the Fest Art Museum of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showcases special exhibition of artwork by Korea’s leading contemporary artists reinterpreting the country’s unique regional festivals. Fest Art Museum proudly presents the 2nd special exhibition 「The Costume of Painter – Festival」, a special commissioned artwork by the artist Bae Joon Sung. Bae has articulated his own interpretation of Korea’s Culture and Tourism Festivals such as “Damyang Bamboo Festival,” “Siheung Gaetgol Festival,” “Jeongnamjin Jangheung Water Festival,” and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the festivals that tap into the ecology and natural resources of their regions through his painting techniques.
Bae is seen as “the pioneer of lenticular painting” the visual imagery of his work changes from different angles of view. Bae is the forerunner contemporary artist of Korea's art fair, who is highly praised at the world’s three major art fairs: Frieze London (UK), Art Basel (Switzerland), and FIAC (France).
Bae’s representative series <The Costume of Painter> began by covering a portrait or image of still life with transparent vinyl and overlay it with paint. The artist then places the model’s clothing in classic paintings, still life from everyday life, and their backgrounds into the current moment and space, giving new attribution of meaning to particular medium. In his recent work, a young girl looks at the animals and plants with a pure gaze at an art gallery or studio, which calls the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imals and plants in nature and ecology. The artwork series is distinctly embodies the four festivals wearing “The Costume of Painter” as a blended imagery of the ever-changing beautiful scenery of Korea.
The four Culture and Tourism Festivals are each represented in a small frame in the artwork, capturing simultaneity that transcends spatial limitations: “Damyang Bamboo Festival” depicts bamboo trees in Juknokwon, which stand out with a contrast from seasons of the green spring and the snowy winter;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in Hampyeong Expo Park’s flower fields features the rhythmical movement of colorful butterflies; “Siheung Gaetgol Festival” in Siheung Gaetgol Eco Park boasts the mystical scenery of pink muhly in the sunset light; and “Jeongnamjin Jangheung Water Festival” expresses the calmness and the pristine blue light of the Jangheung Dam Lake.
Bae Joon Sung approaches the essence of Korea’s Culture and Tourism Festivals through a new perspective and pursues harmony to convey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nature and ecology as well as the novelty of the festivals. Culture and Tourism Festival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regional tourism and economies by tapping into abundant resources such as local specialties, traditional culture and folklore, and tourist attractions. Earnest efforts are being made to develop them into global festivals beyond Korea's representative festivals.  


배준성 BAE JOONSUNG (B.1967)



Education

1990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2000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Solo Exhibition

2022   화가의 옷 - 축제, HIKR Art Museum, 서울
               불연속적 시선, 와스 갤러리, 남양주

               GOOD TO SEE U, 더 트리니티 갤러리, 서울
2021   The Costume of Painter-At the Studio, 아트파크 갤러리, 서울  
               코스튬-플레이, 윤선 갤러리, 대구  
2019   at the studio, 비-트리 갤러리, 서울
2018   The Costume of Painter-At the Studio, 아트파크 갤러리, 서울
2017   The Costume of Painter-White Canvas, 더 트리니티 갤러리, 서울
2016   The Costume of Painter-Still Life, 폰토니 갤러리, 런던
               The Costume of Painter-Still Life, 아트파크 갤러리, 서울 
2015   BAE JOON SUNG, 오페라갤러리, 홍콩
2014   아트바젤 홍콩, 홍콩컨벤션센터, 홍콩
               The Costume of Painter, 알버마르갤러리, 런던
2013    움직이는 정물, 금산갤러리, 서울
2012    움직이는 정물, 갤러리 인, 서울
                움직이는 정물, 갤러리 터치아트, 헤이리 아트밸리
2011    The Costume of Painter – Moving Still Life, 아트시즌즈, 싱가포르
2009    The Costume of Painter, 세브란스 아트스페이스, 서울
2007    The Museum, 갤러리현대, 서울
2006    The Costume of Painter, 갤러리 터치아트, 헤이리 아트벨리
                The Costume of Painter, 롯데 에브뉴엘 , 서울
2005    The Costume of Painter, 캔버스 인터내셔널 아트 갤러리, 암스테르담
2004    The Costume of Painter, 백해영갤러리, 서울
2003    “라크르와씨, 치마를 올려봐도 될까요?”, 대림미술관, 서울
2002    The Costume of Painter in Tours, 보자르미술관/뚜르, 프랑스
2000     Naming, 갤러리인, 서울
1997     Naming, 살갤러리, 서울
1996    독후감, 금호미술관, 서울





Group Exhibition

2021   A dream of 10 years, 한성 자동차, 서울          
               Flex Art, 엠 컨템포러리, 서울 

               배준성, 최진순 2인전 , 갤러리 그림손, 서울
2020   푸룻푸룻뮤지엄: APPLE IN MY EYES, 소마미술관, 서울         
               플라스틱 플라스틱!, 경인대학교 지누지움, 인천
        
                Visual Story ( 시각적 이야기 ),그림손 갤러리, 서울 

                CELEBRATION, 더 트리니티 갤러리, 서울
2019    KOREAN EYE: 2020 KOREAN CONTEMPORARY (ARTPOP UP EXHIBITION – SEOUL), KEB 하나은행, 서울            
                정물화의 유혹, 오승우미술관, 무안군

2017    어린이 미술전<움직이는 미술>, GS 칼텍스 예울마루, 여수
2016    하동철 추모전 헌정(獻呈) – 기리며 그리다, 학고재 갤러리, 서울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15    요술 미술 3D, 아트파크 : 권진규미술관, 춘천
2014    Art 14, 캔징턴 올림피아, 런던

2013    한국현대미술의 궤적, 서울대학교 MOMA, 서울 
2012    코리안아이 2012, 사치갤러리, 런던
                한국현대미술전, 국립대만미술관, 대만
2011    감각들; 상호적 지각, HADA Contemporary, 런던
                Korean Collective Den HAAG, Noordeinde 갤러리, 헤이그, 네덜란드
               배준성, 사타 2인전, 가나아트, 부산
                Fashion into art, 플라토 갤러리, 서울
                A Glocal View – Korean Contemporary Art, 웁살라 미술관, 스웨덴
                38°N Snow South : Korean Contemporary Art, 갤러리 샤롯데 룬트, 스톡홀름
2010    Korean Eye – 환상적인 일상, 한국국제교류재단 문화센터, 서울
                Korean Eye – 환상적인 일상, 아트하우스, 싱가포르  
                Korean Collective London, 알레베마르 갤러리, 런던

                Korean Eye – 환상적인 일상, 사치갤러리, 런던  
                다중효과 , 갤러리인, 서울

2009    Art & Techne ,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요술 이미지,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2009 포토코리아 ‘슈팅이미지’, 코엑스, 서울

                What is real? , 가나아트센터, 서울
                앵그르와 현대작가들, 앵그르 미술관/몽또방, 프랑스         
                연희동에서, 연희동프로젝트, 서울
2008    이용덕, 배준성 2인전, 아트시즌즈, 취리히
                과학정신과 한국현대미술전, KAIST, 대전
                First Step, 아트시즌즈, 북경   
                Blue Dot Asia, 예술의 전당, 서울

                First Step, 아트시즌즈, 싱가포르
​2007    SH Contemporary, 상해 
                Art Amsterdam, 갤러리 스케이프, 암스테르담 
2006    Photo Show 1010 06, 가나아트센터, 서울
                Paris Show 2006, 파리
                Now Korea, 캔버스 인터내셔널 아트 갤러리, 암스테르담
                May Show, 스케이프갤러리, 서울
2005    Summer Show, PKM갤러리
                3 Days & 7 Artists, 스케이프 갤러리, 서울
                제15회 금호미술관 개관기념전, 금호미술관, 서울
                The Costume of Painter, 현대윈도우갤러리, 서울
2004    스케이프갤러리 개관기념전, 서울
                Etensions, 첼시 아트센터, 뉴욕
​                작업실 보고서, 사비나미술관, 서울
2003    한국 현대미술독일순회전 귀국전, 갤러리현대, 서울
                Crossing 2003-Korea/Hawaii, 컨템포러리 뮤지엄, 하와이
               신소장품 2002,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2    Korea Contemporary Art, 벨기에 대사관, 브뤼셀  
                ‘한국의 현대미술전-전통과 혁신’ , 졸페라인 홀, 에센-독일, 유엔 사무실, 제네바
    
                사진 비엔날레, 모스크바
                사진과 패션모델의 변천사, 대림미술관, 서울
2001    재현의 재현전, 성곡미술관, 서울
                현대미술의 눈전, 성곡미술관, 서울
                Model & Mode, 모스크바 뮤지엄, 모스크바
                The Costume of Painter, 현대윈도우갤러리, 서울
2000    서양미술사전, 공평아트센터, 서울
                아를 포토페스티발 ‘태양은 동쪽에서 뜬다’ , 아를
                머리가 좋아지는 그림전, 갤러리사비나, 서울
                한국의 인물과 풍경전, 한국문화원, 파리
1999    한국현대미술 독일순회전 귀국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그리기, 그리기전, 한림미술관-대전, 프랑스문화원-서울
               아트 & 아트웨어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異人(이인)전-작가에 의한 작가전, 성곡미술관, 서울
               제14회 로고스와 파토스전, 관훈미술관, 서울
               서울 사진대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금호미술관 개관 10주년 기념전, 금호미술관, 서울
1998    In the Year of Tiger, 세계문화의 집, 베를린/루드비히 포름, 아헨-독일
               제13회 로고스와 파토스전, 관훈미술관, 서울
               그림보다 액자가 더 좋다, 금호미술관, 서울
1997    청년작가전, 시립미술관, 서울
                제2회 광주비엔날레 특별전-청년정신전, 교육홍보관, 광주
1996    인터넷갤러리-Gig, 가나아트 기획 T.V전, 공평아트센터, 서울
                제11회 로고스와 파토스전, 관훈미술관, 서울
                도시와 영상전, 시립미술관, 서울
1995    국제 복사미술제, 갤러리아트빔, 서울  
                “CINEMA IN GALLERY”-영화 ‘카프카’와 ‘금홍아,금홍아’에 대한 전시, 녹색갤러리, 서울

                 DMZ, 덕원미술관, 서울
1994    녹색갤러리 개관기념전 -“畵卽詩, 詩卽畵”- 배준성,한수정2인전, 녹색갤러리, 서울
                HIDDEN IN SPACE, 녹색갤러리, 서울
                제9회 로고스와 파토스전, 관훈갤러리, 서울
                작가와 환경전, 덕원미술관, 서울
1993   신세대의 감수성과 미의식전, 금호갤러리, 서울
                3人行-김동유, 배준성, 허구영, 제3갤러리, 서울
               금호갤러리 개관 4주년 기념전-기호, 언어, 책 ,예술, 금호갤러리, 서울
               제8회 로고스와 파토스전, 관훈갤러리, 서울
               대전 EXPO 기념-외연과 박람전, 홍인갤러리, 대전





Award

1995    ’95 정경자 미술문화재단 창작 지원 신인예술가상
2000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문화관광부 주관

​



Collection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도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한국민속촌, 세브란스병원, 보령제약, 한미제약, 옥산가, 프랑스 퐁피듀 센터, 프랑스 보자르미술관




36, Jangmun-ro, Yongsan-gu, Seoul, South Korea   +82 2 6953 9879   info@trinityseoul.com    © COPYRIGHT 2016 THE TRINITY.  ALL RIGHTS RESERVED.
  • ABOUT US
  • art + business
  • THE TRINITY GALLERY
  • LG U+ Art Gallery
  • ARTIST
  • media
  • Contact
  • ★ART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