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INITY
  • ABOUT US
  • art + business
  • ART+ EXHIBITION
    • THE TRINITY GALLERY
    • POSCO E&C's ​ THE SHARP GALLERY
    • LG U+ ART GALLERY
    • OTHERS
  • ARTIST
  • CONTACT
  • ★ARTSY
  • Introduction
  • Works
  • Installation Views
  • Artist
  • Press
<
>
Picture


HiKR Art Museum 3rd Special Exhibition

축제미술관(Fest Art Museum)



Flâneur, 축제를 만나다 展

2023. 4. 5 (WED) - 2023. 6. 30 (FRI)

ARTIST  |  김홍식 (b.1962)




학력 (Education)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회화・판화전공 석사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조형예술학 서양화전공 박사졸업

​소장처 (Collections)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도미술관, 부산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파라다이스 그룹, 파리외방선교회본부, 코리아나미술관 외 다수 소장


Flâneur, 축제를 만나다
 
한국관광공사의 축제미술관(Fest Art Museum)은 축제와 예술이 만나는 공간으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현대미술 아티스트가 우리나라 고유의 지역축제를 재해석한 전시를 선보입니다.
축제미술관의 세 번째 전시인 「Flâneur, 축제를 만나다 : Flâneur Meets Festivals」에서는, 세계적인 명소와 미술관에서 채집한 이미지들을 금속판에 찍어내며 무한히 중첩된 시선을 포착해온 김홍식 작가의 ‘남원춘향제’, ‘수원화성문화제’, ‘안성맞춤남사당바우덕이축제’, ‘통영한산대첩축제‘, ‘한산모시문화제’를 주제로 한 특별 커미션 작품을 만날 수 있습니다. 
김홍식 작가는 세계적인 미술관을 배경으로 명작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 그 사람들을 바라보는 전지적 작가의 시선, 그리고 이를 또 하나의 작품으로 바라보는 관람객들의 시선을 황금빛 프레임을 매개로 시공간을 연결시켜온 ‘플라뇌르’ 연작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플라뇌르(Flâneur)>는 프랑스의 상징주의 문인인 보들레르의 ‘플라뇌르(Flaneur : 도시를 한가롭게 거닐며 산책하는 사람)’의 개념으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스스로를 ‘도시 산책자’라고 칭하는 작가는, 도시를 거닐며 지금 이 시대의 장면과 사람들의 이미지를 스테인리스 스틸 위에 새겨 넣고, 그 위에 색을 더한 판화와 회화의 복합 작업 방식인 ‘금속판 부식 회화’로 표현합니다. 
작가의 대표 <플라뇌르(Flâneur)>연작이 대한민국 지역 고유의 전통과 역사에 바탕을 둔 축제를 만났습니다. 광한루를 배경으로, 아이들이 청사 초롱불을 들고 전통혼례장으로 들어갑니다. 춘향제향가를 주제로 한 ‘남원춘향제’입니다. ‘수원화성문화제’에서는 수원화성 일대의 수류정과 혜경궁 홍씨의 진찬연이 펼쳐집니다. 흥겨운 풍악이 흘러나오는 듯한 남사당 놀이 공연을 담은 ‘안성맞춤남사당바우덕이축제’도 보이네요. 충무공 이순신의 한산해전, 승전 불꽃놀이를 모티브로 한 ‘통영한산대첩축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록된 한국의 아름다운 대표 섬유 모시문화가 표현된 ‘한산모시문화제’가 작가의 스테인리스 스틸과 금빛 프레임에 담겼습니다. 
작가는 이처럼 축제의 본질을 새로운 시각을 통해 접근하고 조화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과 역사를 이어오는 축제의 중요성을 전하고자 합니다. 대한민국의 수많은 지역 축제 중 “문화관광축제”는 문화체육관광부 및 한국관광공사에서 지정한 축제로서 지역의 특산물, 전통문화·민속, 관광자원 등 다양한 소재로 지역 관광 및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였으며, 대한민국 대표 축제를 넘어 세계적인 축제로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작가인 내가 한국의 5가지 ‘전통/역사’ 축제를 해석하고, 축제를 즐기고 느끼는 인간들의 모습을 관찰한 모습을 작품으로 만들었다면 이 전시를 통해 관람객이 이를 바라봄에 또 다른 시선의 확장이 이뤄진다. 축제미술관 관람객 여러분이 이번 내 작업의 완성이다. “  - 김홍식 작가노트 中 -

 
 Flâneur Meets Festivals
 
As a space where festivals and art meet, Korea Tourism Organization’s Fest Art Museum presents exhibitions that reinterpret Korea’s unique local festivals by Korea’s representative contemporary art artists. At the third exhibition of the Fest Art Museum, 「Flâneur Meets Festivals」, You can meet special commissioned works of Kim Hong Shik who captures infinitely overlapping views by printing images collected from world-famous landmarks and art museums on metal plates centered on the themes of ‘Namwon Chunhyang Festival’, ‘Suwon Hwaseong Cultural Festival’, ‘Anseong Namsadang Baudeogi Festival’, ‘Tongyeong Hansan Battle Festival’, and ‘Hansan Ramie Fabric Cultural Festival’.
Through her Flâneur series, Kim Hong Shik is well-known for connecting time and space with the medium of a golden frame, the gaze of people looking at masterpieces, the gaze of an omniscient artist looking at them, and the gaze of viewers looking at it as another work against the backdrop of a world-class art museum. <Flâneur> was conceived out of the concept of ‘Flâneur (a person walking leisurely in the city)’ by Baudelaire, a French symbolist writer. The artist, who calls herself an ‘city stroller’, engraves images of scenes and people of this era on stainless steel as she walks through the city, and expresses it through ‘metal plate corrosion art’, a composite work method of lithography and paintings in which colors are added on top.                                                                              
The artist’s representative <Flâneur> series debuts at the festival based on the tradition and history of the Korean region. With Gwanghallu Pavilion in the backdrop, children enter the traditional wedding hall with Cheongsachorong lanterns. This is the ‘Namwon Chunhyang Festival’ with the theme of Chunhyangjehyang(ritual service ceremony of chunhyang). At the ‘Suwon Hwaseong Cultural Festival’, Suryujeong Pavilion around Hwaseong Fortress, Suwon and Hyegyeonggung Hong’s 60th Birthday celebration will unfold. You can also see the ‘Anseong Namsadang Baudeogi Festival’, which features performances of Namsadang plays that sound like joyful wind instrument music. The stainless steel and golden frames created by the artist showcases the ‘Tongyeong Hansan Battle Festival’ to celebrate Yi Sun-sin’s Battle of Hansan with a fireworks victory celebration and Hansan Ramie Fabric Cultural Festival to communicate the beauty of Korea’s representative textile culture of ramie cloth, which is registered a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Accordingly, the artist approaches and harmonizes the essence of the festival through a new perspective, and aims to convey the importance of the festival that perpetuates Korea's unique tradition and history. Among the many local festivals in Korea, the “Korea’s Culture and Tourism Festivals”, which i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has contributed to regional tourism and economic development with various topics such as local specialties, traditional culture and folklore, and tourism resources, and pursues growth and development as a global festival beyond a local representative festival. 
“If, as an artist, I’ve interpreted the five ‘traditional/ historical’ festivals in Korea and made my works of art by observing how people enjoy and feel the festivals, this exhibition allows the viewers to expand another perspective as they look at them. It's a personal achievement for visitors to the Fest Art Museum to view my works, marking their completion at this time.” – Cited from artist Kim Hong Shik


김홍식    KIM  HONG SHIK  (B. 1962)


Education
1985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2002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회화∙판화전공 석사졸업
2011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조형예술학 서양화전공 박사졸업


Solo Exhibition
2023 Flâneur, 축제를 만나다, 하이커 그라운드 축제미술관, 서울
2022 Flâneur Meets Lust, 더 트리니티 갤러리, 서울
2021 Red_감각의 논리: 감각적 사유로부터의 이야기, 갤러리 로얄, 서울 
2020 도시산책자_플라뇌르,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 서울
2019 김홍식. ZIP_B theory, 파라다이스 ZIP, 서울
2019 미술관산책자, dtc갤러리, 대전
2017 김홍식의 시:간 視間_시선의 사이를 거닐다, 환기미술관, 서울
2017 Dialogue in Museum, Gallery Mano, 서울
​2015 오래된 집 프로젝트, 오래된 집, 서울
2013 Seven Blind Men, 금호미술관, 서울
2011 산책자의 도시, 스페이스 CAN· 스페이스 15, 서울
2008 Reading A City, 갤러리 마노, 서울
2007 A Strange City, Dos 갤러리, 센트리갤러리, 서울, 파주
2005 An Alien’s Trip, 헤이리 아트팩토리, 파주/ And Shadow, 사디 윈도우갤러리, 서울
2004 Kim Hong-Shik, Modern Art Center of Osaka-Fu, Osaka, Japan 
2003 Non-communication II, Wright State University, USA 
2002 Non-communication, 금산갤러리, 서울    
1995 김홍식개인전, 모인화랑, 서울


Group exhibition
2022 때론 너무 차갑고 너무 뜨겁게, 포스코미술관, 포항
2022-2021 토탈서포터즈, 토탈미술관, 서울
2022-2021 10의n승, 토탈미술관온라인, 서울
2022 Hi_story.gif, 자하미술관, 서울 
2022 천년 길 위에 새겨진 너와 나의 시선, 경기천년길갤러리, 경기도청북부청사 본관 B1
2021 COUNTDOWN2021, 세종문화회관미술관, 서울
2021 자인ZAIN_동서양의 근현대미인도, 팔복예술공장, 전주
2021 “여권통문의 날” 기념전, 토포하우스, 서울
2021 제3의 프린트: 뉴 콤비네이션, 트라이보울, 인천
2020 여수국제미술제, 여수엑스포아트갤러리, 여수 
2020 판화, 판화, 판화,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9 세종대왕과 음악_치화평, 대통령기록관, 세종시 
2019 '신소장품 2017-2018'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8 Art Basel in Hong Kong, Hong Kong
2018 경기천년 도큐페스타 <경기 아카이브_지금>, 경기상상캠퍼스, 수원 
2018 판화하다-한국현대판화 60년, 경기도미술관, 안산
2018 도시_비움의 시작,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2018 십년감수; 갤러리박영 10주년 기념전, 갤러리박영, 파주
2017 한국 천주교회 230년 그리고 서울, 바티칸미술관, 로마
2017 층과 사이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7 백화점: 장욱진탄생 100주년기념 100인의 아티스트 미디어파사드, 장욱진미술관, 양주 
등 다수 기획, 그룹전 참여


Collections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도미술관, 부산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국립현대미술은행, 인천미술은행,   모란미술관, 박수근미술관,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
인당뮤지엄, 진천군립미술관, 코리아나미술관, 환기미술관 ,   파리외방선교회본부, 강남구청, 이대서울병원, 파라다이스시티, 디자인하우스, 아트앤   등


Grand Hyatt Seoul LL, 322, Sowol-ro, Yongsan-gu, Seoul, South  Korea
+82 2 6953 9879   [email protected]   © COPYRIGHT 2016 THE TRINITY.  ALL RIGHTS RESERVED.
             
  • ABOUT US
  • art + business
  • ART+ EXHIBITION
    • THE TRINITY GALLERY
    • POSCO E&C's ​ THE SHARP GALLERY
    • LG U+ ART GALLERY
    • OTHERS
  • ARTIST
  • CONTACT
  • ★ART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