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화에 어떻게 변화하는 실제의 시공간을 옮길 수 있을까? 2차원 평면에 3차원 공간을 담는다는 것은 논리적으로는 불가능한 일이다. 그럼에도 우리가 회화적 평면 속 그림을 공간으로 느낄 수 있는 건 시각적 경험과 회화적 상징이 상호작용하기 때문이다. 명암법속에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은 하나의 태양 아래서 원통을 본 경험과 관련이 있다. 실제 공간에서도 빛의 위치에 따라 형상이 모호하게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전형적인 명암법은 고대의 철학자들이 생각했듯이 이데아에서 온 전형적인 형상이 아니라, 형상을 가장 인식하기 쉬운 빛의 위치를 상정하여 그린 것이다. 20세기 동안 회화적 환영에 대한 비판의 시기를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원근법과 명암법은 유효하며 이러한 기법들은 나름의 자기-완성적 논리를 가지고 회화적 관념의 세계를 지탱한다. 최은혜 작가는 이런 회화에 대한 존재론적 질문을 미학적이고 감각적으로 풀어간다. 작가는 감각으로는 느낄 수 있지만 개념적으로 표본화할 수 없는 것들을 포착하여 실재와 가상, 물질과 비물질, 있음과 없음 등 모순적인 것들을 그것을 인식하는 방식의 차원에서 연결한다. 시각적 사유에서는 고정된 개념보다는 시간 속에서 변화하는 것들의 일관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작가는 이를 위해 <Dialogue>시리즈에서는 회화적 세계에서 존재하지만 실제 세계에는 존재할 수 없는 것들과 실제 세계에만 존재하는 것을 그림자로 연결한다. <Dialogue>시리즈에서 회화적 평면에 돌출된 나무막대가 그림자를 드리우며 환영과 실제 사물 사이를 오간다. 그림자는 그림 속에 그려진 유사 그림자들 속에서 이미지의 일부가 되기도 하고, 막대로 만든 큐브로 연결되기도 하면서 관념으로 해석할 수 있는 2차원 이미지와 3차원적 구조물이 하나가 된다. 정제되고 섬세한 작품의 외관과 달리 작품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에서 작가적 고민의 깊이와 스케일을 엿볼 수 있다. 고정된 회화 이미지를 변화하는 실제 세계와 진동하게 하여 회화적 세계와 삶을 연결하려는 시도는 회화의 근원에 대한 질문이자 한계에 대한 도전이다. 최은혜 작가의 회화적 난제들에 대한 야심찬 도전이 어떤 해답을 만들어 나갈지 기대해 본다. - 글 이 수 -
Solo Exhibition 2021 Invisible Layer, 더 트리니티 갤러리, 서울 2019 The Evaporated, 레벨드 쿤스나툰 아트센터, 노르웨이 2019 풍경조각, 갤러리 피랑, 파주 2018 기억의 온도, 021갤러리, 대구 2018 시간산책, 갤러리 비원, 서울 2018 수집된 시간, 4tk004_ㅋㅋㄹㅋㄷㅋ, 세운상가, 서울 2017 공간의 화음, KAIST Supex(카이스트 리서치 앤 아트), 서울 2013 기획공모 Shape, Space, Sense, 갤러리 도스, 서울 2012 Crossing Space , ACRE Gallery, 시카고, 미국 2011 Something Between Us, 스페이스 함, 서울
Selected Group Exhibition 2020 꿈의 대화, 외교부 주관, 에이라운지 갤러리, 온라인 VR전 2020 한국-스페인 수교70주년 기념전_ 동시성, 아뮬레토 갤러리, 바르셀로나, 스페인 2020 한국-스페인 수교70주년 기념전_동시성, 더 트리니티 갤러리, 서울 2020 꿈의 대화, 에이라운지 갤러리, 서울 2019 RUB Major Exhibition_Now Wave and Graphic Activism, 플럭스 팩토리, 뉴욕 2019 온도의 결, 닻 미술관, 경기 광주 2019 ㅅ_공존하는 공간,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수원 2019 BEYOND BORDERS,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018 미니멀 변주, 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 2018 2018 신소장품전, 오산시립미술관, 오산 2017 Quintet, 동덕아트갤러리, 서울 2016 관계, 가나아트센터, 서울 2016 상상공간, 고양아람누리 아람미술관, 고양 2016 새로운 사유_변화와 지속, 쉐마미술관, 청주 2016 15x15, 스페이스 비엠, 서울 2015 소마드로잉_무심 전, 소마미술관, 서울 2015 NON PLUS ULTRA_ 23 Folds, 동덕아트갤러리, 서울 2015 갤러리도스 개관 10주년 기념전_movement on silence, 갤러리 도스, 서울 2015 until now, 이화아트갤러리, 서울 2014 여정_14x14, 살롱 드 에이치, 서울 2014 녹는 지점, 갤러리 도스, 서울 2014 한국은행이 선정한 젊은 작가들 전, 한은갤러리, 서울 2014 가능한 불 가능한 여정들, 아뜰리에35, 수원 2013 The mirror and the lamp, 신세계본점 본관 아트월 갤러리, 서울 2013 13 x 13Art in London, Work in Seoul, 아트클럽1563, 서울 2013 예술-영원한 빛,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012 화성문화재단 기획전 'Drawing draw', 동탄아트스페이스, 경기 2012 Building Utopia, Kunstraum Tapir, 베를린, 독일 2012 NEW ACQUISITIONS_ 신소장작품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2 PLACE NOT FOUND_발견되지 않는 공간, Forman's Smokehouse gallery, 런던, 영국 2011 Space Reflected_채지민 & 최은혜, 갤러리 엠, 서울 2010 Elan Vital Project, Blank Space, 첼시, 뉴욕 2010 Move, Moving, Movement, Ceres Gallery, 첼시, 뉴욕 2010 Moving on, 백해영 갤러리, 서울 2008 Myth inUs, 도호쿠예술공과대학, 야마가타, 일본 2008 Myth inUs_ 우리 안의 신화, 토탈갤러리, 서울 2008IN-VISIBLE_ 볼 수 없는 것의 징표들, 모란갤러리, 서울 2007 도처에 편재하는 눈 '대학문화와 지역문화의 접점',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아트센터, 서울 2007 W.A.V.E,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아트센터, 서울 2007 W.A.V.E, Winchester School of Art, Winchester, 영국
Award 2019 Leveld Kunstnartun, Al, 노르웨이 2019 Hafnarborg(Hafnarborg Centre of Culture and Fine Art) Residency, 아이슬란드 2014 2014 한국은행 선정작가 2012 Takt Kunstprojektraum Artist Residency, 베를린, 독일 2011 소마드로잉센터 제6기 아카이브 등록작가 선정 2011 ACRE(Artists Cooperative Residency and exhibitions), 시카고, 미국
Collection 2017 오산시립미술관, 오산 2014 한국은행, 서울 2012 Forman's Smokehouse Gallery, 런던, 영국 2011 서울시립미술관,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