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INITY
  • ABOUT US
  • art + business
  • ART+ EXHIBITION
    • THE TRINITY GALLERY
    • POSCO E&C's ​ THE SHARP GALLERY
    • LG U+ ART GALLERY
    • OTHERS
  • ARTIST
  • CONTACT
  • ★ARTSY
Buy
  • Introduction
  • Works
  • Installation Views
  • Artist
  • Press
<
>
Picture
상단의 포스터를 클릭하면 CELEBRATION展 VR 전시 링크로 이동하여 다시보기가 가능합니다.


CELEBRATION 展​


김홍식, 배준성, 유의정
​KIM HONG-SHIK, BAE JOON SUNG, YOO EUI-JEONG


​2020. 12. 17 - 2021. 2. 17

​

반짝임에 저항하기-동시대 시각성의 재해석


이번 전시는 과거와 현재 미술양식의 변주 속에서 동시대 미술의 시각성을 탐색한다. 김홍식, 배준성, 유의정 세 명의 작가들은 미술사적 맥락 안에서 현대적인 소통을 이끌어 내기 위해 과거의 미술양식과 소재를 현대적 기법으로 재현하여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낸다. 난해한 동시대 미술의 언어보다는 이미 익숙한 고전이나 바로크, 전통적 도예기법으로 동시대적 이미지를 담아 쉽게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한 작품에 다양한 미술사적 의미를 담는 것은 이미 피카소가 시도했던 방식이다. 피카소는 1907년 <아비뇽의 아가씨들>을 발표하였는데, 이 작품 속에는 아프리카 가면부터 시작하여 그리스 도기에 그려진 그림의 기법, 바로크적 색감 등 미술사를 아우르는 표현양식을 사용하여 새로운 방식의 시각성을 제시했다. 이후 이러한 방식은 전통을 새롭게 하려는 작가들에게 하나의 규범이 되었고 관객들은 익숙한 형식에서 차이를 쉽게 발견하며 지적인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다. 다양한 시대의 양식이 하나의 작품 속에 중첩되는 것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이기도 하다. 모더니즘의 권위와 엘리트주의에 반발하는 작가들은 대중적으로 쉽게 소통하기 위해 이미 클리셰가 된 익숙한 양식들을 사용하여 새롭게 조합하였다. 이전의 미술이 형식과 의미의 통일성을 추구했다면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미술은 의미와 양식의 불협화음 속에서 상상력의 확장을 이끌어 내어 새로운 의미들을 창출해 낸 것이다. 현대의 예술양식이 역사적인 맥락을 상실하면서 하나의 거대담론으로 통합할 수 없게 되었지만 그럼에도 시대의 특징들을 반영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고전적 양식으로 재현된 동시대의 다양한 시각정보들과 현시대의 풍경들은 특정 양식이 지시하는 시대에서 벗어나 현재에 대한 탐구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번 전시에 참여한 세 명의 작가 역시 서로 다른 형식, 재료, 소재를 사용하는데도 유사성을 찾아볼 수 있다. 

김홍식은 스테인리스 스틸을 부식시키고 그 위에 실크스크린으로 이미지를 전사하여 도시에서 관찰한 풍경을 남기는 작업을 한다. 김홍식의 작품에서 금빛은 작품을 감싼 액자와 액자 안의 작품 이미지 속에서 반복되며 반짝인다. 작품이 놓인 현실세계와 작품 안의 시공간은 서로 연결되며 마주본 두 개의 거울처럼 서로를 참조하며 무한히 확장시켜 물리적 세계에서 일어날 수 없는 시공간의 전환을 보여주면서 우리에게 낯설음과 미적 쾌감을 동시에 제공한다. 

배준성은 로코코양식의 정물(still-life)에 렌티큘러라는 현대적 기법을 더하여 과거와 현재, 하나와 다수의 양면성을 한 화면에 담는다. 정물화는 화려한 색채 이면에 도사리고 있는 정적, 만개한 꽃의 생명력에서 느껴지는 죽음의 이미지와 같이 하나의 규정이 반대 의미의 문을 열고 있음을 보여준다. 어린이가 미술관을 방문한 장면을 그린 회화작품은 벽면을 가득 채운 금장 액자에 담긴 바로크시대의 명화들과 함께 걸린 상단 중앙의 작품 이미지만 렌티큘러로 제작되었다. 렌티큘러는 시선의 각도에 따라 다른 이미지를 제공하여 고정된 시점에서는 작품 전체를 감상할 수 없게 한다.

 유의정 작가의 주병과 도자조각은 청화백자 기법이나 분장기법 등 전통적 기법 속에 전사, 러스터 기법 등 현대적 기법을 가미하여 화려하고 매끈한 현대적 시각성을 한 작품에 담는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명품 브랜드 로고, 글로벌기업의 브랜드 로고 등 대중적이고 상업적인 이미지가 전통적인 문양과 조형형식 위로 흘러내리며 겹쳐진다. 유의적은 팝의 감성을 가미하여 물신주의적인 현대 문화를 적나라하게 보여주어 로고, 광고이미지, 사인물 등 기표가 기의를 압도하는 현대의 독특한 시각성을 표출한다.

​이 세 작가의 작품의 공통점은 반짝임이다. 김홍식 작가의 작품은 스테인레스 스틸에 금색을 덧입혔고, 배준성 작가의 작품은 렌티큘러를 사용하여 빛과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보이게 하였으며, 유의정 작가의 작품은 유약과 러스터 기법을 사용하여 반짝이게 하였다. 매끄러움과 그것에 수반되는 반짝임은 깊이 있는 성찰보다는 순간적 감각에 몰입하게 하는 현대적 시각성를 대변한다. 현대미술의 시각적 특징을 대변하는 앤디 워홀과 제프 쿤스의 작품에서 반짝임과 매끄러움은 현대의 물신주의적 미학을 드러내는 특징이다. 한병철은 <아름다움의 구원>에서 매끄러움은 저항과 부정성을 제거하고 만족을 주며 소유욕을 불러일으키는 형식이라고 해석하였는데, 이는 불쾌를 일으키는 숭고의 미와 달리 전적으로 쾌감을 일으키는 아름다움과 관련된다. 그러나 이번 전시 작가들은 반짝임을 문자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몇 가지 기제들을 사용하여 몰입의 쾌감을 유보시킨다. 김홍식 작가는 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 작품을 감상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작품에 담는다. 감상이라는 행위는 작품과 주체 간의 특별한 관계성 속에서 이루어지는데, 김홍식의 작품에는 이미 관객이 등장하여 실제 관객은 작품이라는 대상과의 관계성에서 제3자가 되어 작품으로의 몰입에 방해를 받는다. 배준성 작가는 렌티큘러를 사용하여 하나의 고정된 시점에서 작품 전체를 파악하도록 하는 고전적 작품 관람방식과 다른 ‘경험’의 요소를 도입한다. 작품을 온전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선의 변화라는 과정이 결합되어 회화의 한계를 다른 국면으로 전환시킨다. 유의정 작가는 원래 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도예라는 장르를 감상가능한 형식으로 변화시켜 도예작품에 대한 고정관념을 넘어선다. 유약이나 이미지를 흘러내리게 하는 회화적인 기법을 공공연하게 사용하고, 사용이 불가능하도록 뚜껑을 연결하여 조각과 유사하게 하는 방식은 도예를 공예의 범주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이들 세 작가는 쉽게 미혹되는 매끈하고 상업적인 이미지가 아닌 매끈함의 형식을 과도하게 피상적으로 다루거나 분석적으로 사용하여 만족을 유예하고 깊이 있는 통찰로 다가가게 한다. 김홍식, 배준성, 유의정 세 작가의 작품은 굳건한 미술사적 양식을 사용한 온건하지만 비판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 전시팀장 이수 -
​



​

​



 

         

김 홍 식 KIM HONG SHIK (B. 1962-)

 
Education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조형예술학 서양화전공 박사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회화∙판화전공 석사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Solo Exhibition
2019 김홍식 Zip, 파라다이스 Zip, 서울
‍2017 환기재단 작가전 김홍식의 시視:간間_시선의 사이를 거닐다, 환기미술관, 서울
2017 Dialogue in Museum, 갤러리 마노, 서울
2015 틀의 바깥, 오래된 집, 서울
2013 Seven Blind Men, 금호미술관, 서울
2011 The Eye of Fl-neur, 스페이스 캔, 서울
2015 김홍식박사학위청구전, 이화아트센터, 서울
2008 Reading A City, 겔러리 마노, 서울
2007 A Strange City, 갤러리 도스, 서울
2007 A Strange City, Sentir갤러리, 경기도 파주
2005 An Alien’s Trip, 헤이리 아트팩토리, 경기도 파주
2004 Kim Hong-Shik, Modern Art Center of Osaka-Fu, Osaka, Japan
2003 Non-communication II, Wright State University, USA
2002 Non-communication, 금산갤러리, 서울
1995 김홍식개인전, 모인화랑, 서울

​Selected Group Exhibition
2021 Celebration, 더 트리니티 갤러리, 서울
2020  여수국제미술제, 여수엑스포아트갤러리, 여수 
2020  판화,판화, 판화,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20  The Peaceful warriors in Museum, (https://www.sixshop.com/bluecs/home-1)
2020  세상의 모든 드로잉, 아터테인, 서울
2019 세종대왕과 음악_치화평, 대통령기록관, 세종시 
2019 자인ZAIN_동서양의 근현대미인도, 코리아나미술관 주관, 김포아트빌리지, 김포
2019 AMBIVALENTLY YOURS, 갤러리 수, 서울
2018  Art Basel in Hong Kong,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Hong Kong 
2018  Chicago Expo, Navy Pier Festival Hall, Chicago, USA 
2018  경기천년 도큐페스타 <경기 아카이브_지금>,경기상상캠퍼스, 수원 
2018  판화하다-한국현대판화 60년, 경기도미술관, 안산
2018  도시_비움의 시작,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2018  십년감수; 갤러리박영 10주년 기념전, 갤러리박영, 파주
2018  외곽의 지층들, 해움미술관, 수원
2018  자인ZAIN_동서양의 근현대미인도, 안동문화예술의 전당, 안동
2018  kiaf, COEX, 서울
2017  한국 천주교회 230년 그리고 서울, 바티칸미술관, 로마
2017  층과 사이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7  백화점: 장욱진탄생 100주년기념 100인의 아티스트 미디어파사드, 장욱진미술관, 양주
2017  kiaf, COEX, 서울 
2016 서울사진축제, 북서울미술관
2016 산책자프로젝트, 고등군사법원
2016 틈_under the SKIN, 갤러리세줄
2016 Art works created on paper, Tainan Xinying Cultural Center, Taiwan
2016 kiaf, COEX, 서울
2015 무심, 소마드로잉센터 
2015 판을 펼치고 놀다, 제비리미술관, 강릉 
2015 옆으로 나란히 서다, 성북예술창작센터
2015 유연한 시선, 모란미술관 
2015 Again Print, But New, 갤러리 정미소 
2015 Land marking: 장소의 사회학, 스페이스K_과천 
2015 kiaf, COEX, 서울
2014 현대미술 읽기: 신소장품2012, 국립현대미술관
2014 Houston Art Fair, Reliant Center, Houston, TX, USA
2014 서소문·동소문별곡, 서울역사박물관
2014 SeMA Collection: 포착된 시간 (SeMA대외협력전시), 관악갤러리   
2014 Hommage à Whanki Ⅱ, 환기미술관
2014 한국의 초상미술-기억을 넘어서, 전북도립미술관
2014 21세기 풍속화, 이천시립월전미슬관
2014 print making, 63스카이아트미술관
2014 창립55주년 기념 홋카이도협회 초대전, 삿포로다이도갤러리, Japan
2014 kiaf, COEX, 서울
2013 한국 현대판화 50년, 마닐라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Philippines
2013 역사 속에 살다, 전북도립미술관
2013 忘年友.. 박수근미술관에 들다, 박수근미술관
2013 거울 사이: 무한 가역성, 이화아트센터
2013 판화의 유쾌한 변신, 서울시립미술관경희궁
2012 House of Edition, 신세계본점갤러리
2012 판화공방, 신세계본점 아트월 갤러리
2012 아트광주, KDJ 컨벤션센터
2012 감각하는 사유, 강릉미술관
2012 채용신과 한국의 초상미술, 전북도립미술관
2012 대만, 한국 국제 판화 교류전, Taipeishi, Taiwan
2012 감각의 브리콜뢰르, 진천군립생거판화미술관 
2012 Myself - Writing-inscribed Scene, 스페이스 15
2011 HOMA Curator Project,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2011 Pumping Eye, Goodman Arts centre, Singapore
2011 도시를 스케치하다, 서울시립미술관 남서울
2011 인천미술은행기획-생활의 발견, 부평아트센터
서울포토2011, 코엑스

Award
2018 중견작가저작지원
2017 환기재단작가선정
2013-11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
2010 고양국립창작스튜디오 6기 입주작가, 고양문화재단 지역문화예술활동지원, 소마드로잉작가선정
2009-10인천문화재단 지정공모 창작활동다년지원(전시기획)
2008 문예진흥기금 개인창작지원, 서울문화재단 시민문예지원, 기전미술작가선정
2005 경기문화재단 문화예술진흥지원금 개인창작지원
2003 The 13th Annual Dayton Area Works on Paper, An award winner
2001 현대 판화 공모전 우수상

Collection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도미술관, 부산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국립현대미술은행, 모란미술관, 박수근미술관
진천군립미술관, 코리아나미술관, 환기미술관, 파리외방선교회본부, 강남구청, 파라다이스그룹, 디자인하우스 외 다수 소장





배 준 성 BAE JOON SUNG (B. 1967-)

​
Education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Solo Exhibition
2022  화가의 옷 - 축제, HiKR Ground 축제미술관, 더 트리니티, 서울
              GOOD TO SEE U, 더 트리니티 갤러리, 서울
             불연속적 시선, 와스 갤러리, 남양주
2021 The Costume of Painter -  At the studio, 아트파크, 서울
             The Costume of Painter - At the  studio, 코스튬플레이, 서울
             The Costume of Painter - At the studio, 윤선갤러리, 대구
2019 at the studio, 비 트리 갤러리 , 서울

2018 The Costume of Painter At the Studio, 아트파크 갤러리 , 서울
2017 The Costume of Painter White Canvas, 더 트리니티 갤러리 , 서울
2016 The Costume of Painter Still Life, 폰토니 갤러리 , 런던
2016 The Costume of Painter Still Life, 아트파크 갤러리 , 서울
2015 BAE JOON SUNG, 오페라갤러리 , 홍콩
2014 아트바젤 홍콩 , 홍콩컨벤션센터 , 홍콩
2014 The Costume of Painter, 알버마르갤러리 , 런던
2013 움직이는 정물 , 금산갤러리 , 서울
2012 움직이는 정물 , 갤러리 인 , 서울
2012 움직이는 정물 , 갤러리 터치아트 , 헤이리 아트밸리
2011 The Costume of Painter Moving Still Life, 아트시즌즈 , 싱가포르
2009 The Costume of Painter, 세브란스 아트스페이스 , 서울
2007 The Museum, 갤러리현대 , 서울
2006 The Costume of Painter, 갤러리 터치아트 , 헤이리 아트벨리
2006 The Costume of Painter, 롯데 에브뉴엘 , 서울
2005 The Costume of Painter, 캔버스 인터내셔널 아트 갤러리 , 암스테르담
2004 The Costume of Painter, 백해영갤러리 , 서울
2003 라크르와씨 , 치마를 올려봐도 될까요 ?”, 대림미술관 , 서울
2002 The Costume of Painter in Tours, 보자르미술관 뚜르 , 프랑스
2000 Naming, 갤러리인 , 서울
1997 Naming, 살갤러리 , 서울
1996 독후감 , 금호미술관 , 서울

​Selected Group Exhibition
​2021 Celebration, 더 트리니티 갤러리, 서울
2018 THE BOOKS, LG 유플러스 용산사옥 ART & HEALING갤러리, 서울
2015 아트바젤 홍콩, 홍콩컨벤션센터, 홍콩
2015 요술 미술 3D, 아트파크 : 권진규미술관, 춘천
2015 무한상상, 아트파크 : GALLY4F, 춘천 
2014 SCOPE MIAMI BEACH 2014, 스코프 마이애미 비치 파빌리온, 마이애미
2014 Art 14, 캔징턴 올림피아, 런던 AHAF 2014, 마르코폴로홍콩호텔 , 홍콩
2013 현대미술 , 원본성에 도전한다 , 이화여대박물관 , 서울
2013 AHAF 2013, 만다린오리엔탈 , 홍콩 한국현대미술의 궤적 , 서울대학교 MOMA, 서울
2013 한국미술 대항해 시대를 열다 , 부산시립미술관 , 부산
2013 아트바젤 홍콩 , 홍콩컨벤션센터 , 홍콩
2013 고갱과 그의 친구들 , 대치 H ∙아트갤러리 , 서울
2013 역사속에 살다 ‘ 초상 , 시대의 거울 ' , 전북도립미술관 , 전북
2013 AHAF 2013, 콘래드 , 서울
2012 한국 현대미술 연속 기획전 – 황금 DNA, 일주선화갤러리 , 서울
2012 제 11 회 한국국제아트페어 2012, 코엑스 , 서울
2012 코리안아이 2012, 사치갤러리 , 런던
2012 현대미술을 이끄는 힘 ‘ 한국의 중견작가들 ', 슈페리어갤러리 , 서울
2012 홍콩아트페어 2012, 홍콩컨벤션센터 , 홍콩
2012 만화로 보는 세상 'Fun+asy', 소마미술관, 서울
2012 발굴된 미래 , 빛갤러리, 서울
2012 한국현대미술전, 국립대만미술관, 대만
2011 시대정신, 인터알리아, 서울
2011 Korean Collective Den HAAG, Noordeinde 갤러리, 헤이그, 네덜란드
2011 배준성, 사타 2인전, 가나아트, 부산 Fashion into art, 플라토 갤러리, 서울
2011 Paranoid Scene, 인터알리아, 서울
2011 A Glocal View – Korean Contemporary Art, 웁살라 미술관, 스웨덴
2011 38°N Snow South : Korean Contemporary Art, 갤러리 샤롯데 룬트, 스톡홀름

Award
1995 ’95 정경자 미술문화재단 창작 지원 신인예술가상
2000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문화관광부 주관

Collection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도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한국민속촌, 세브란스병원, 보령제약
한미제약, 옥산가, 프랑스 퐁피두 센터, 프랑스 보자르미술관 외 다수 소장





유 의 정 YOO EUI-JEONG (B. 1981-)


Education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졸업
홍익대학교 대학원 도예과 석사졸업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도예 유리과 졸업

Solo Exhibition
2018 금은보화 일상에서 찾은 보물들 galleryROYAL, 서울 한국
2016 Imagery & Figuration,  galleryPURPLE, 남양주, 한국
2016 수복강녕 壽福康寧 한독의약박물관 생명갤러리, 음성, 충북
2016 Float·ing CJAS(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 청주, 한국
2015 The Skin of Desire, 갤러리 Koo, 서울, 한국
2011 진화가면 進化假面, 송은아트큐브, 서울, 한국
2010 방어기제 防禦機制, UM Gallery, 서울, 한국
2010 방어기제 防禦機制, 무심갤러리, 청주, 한국

Selected Group Exhibition
2021 Celebration, 더 트리니티 갤러리, 서울
2020  가구가락(可口可樂)II.-유의정& 김성윤2인전, galleryROYAL, 서울,한국
              G.P.S Art Navigater galleryPURPLE, 남양주, 한국
2019 광장:미술과사회, 국립현대미술관50주년기념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
             가구가락(可口可樂)I.-유의정& 김성윤2인전, galleryPURPLE, 남양주, 한국
             팝/콘Pop/Corn 대구시립미술관, 대구, 한국
             헬로우팝티, 수원미술관, 수원, 한국
2018 아트마이닝, 서울 동대문DDP, 서울, 한국
             장식의힘, KCDF(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gallery, 서울, 한국
             G.P.S Art Navigater, galleryPURPLE, 남양주, 한국
2017 Because of Ceramics>남송미술관,항저우시,중국
             Contemporary Korean Ceramics, Victoria & Albert Museum, London, UK
             Madein Korea, Sladmore Contemporary, London, UK
             유의정, 경현수, 민성식3인전 ’시간의단편들’, 닥터박갤러리, 양평, 한국
             2017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한국도자재단여주비엔날레전시실, 여주, 한국
2016 중국상해세계현대도자비엔날레, Shanghai Art & Craft Museum, 상해, 중국
             수염난피터팬, 성남아트센터큐브미술관, 성남, 한국
             미디어+아트패러다임-세계미학자대회특별전, 화이트블럭아트센터, 파주, 한국
             도큐멘트10년의흔적, 10년의미래, CJAS(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한국
             Contemporary Korean Ceramics, 베르나르도재단, 리모주, 프랑스
             24개의밤, 25번째의낮, CJAS(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한국
             G.P.S Art Navigater, galleryPURPLE, 남양주, 한국
2015 Crafted Matter, Contemporary Korean Sculpture, The Wilfrid Museum, Kibbutz Hazorea, 이스라엘
             VIVID DREAM,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김해, 한국
             2015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잇고또더하라; The Making Process, 청주, 한국
             BEYOND LIMITATIONS,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김해, 한국
             Living with Pop, 예울마루아트센터, 여수, 한국
             Warming Up,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전시장전관, 청주, 한국
             2015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이천세라믹스창조센터전시실, 이천, 한국
             Ceramic+Nomad=Ceramad, 40일간의여정, 노마딕레지던스-인도귀국보고전,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김해, 한국
             Earth Matters, Lalit Kala Akademi, 첸나이, 인도
2014 Interchange>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큐빅하우스갤러리5,6, 김해, 한국
             COLLECT 14, 사치갤러리, 런던, 영국
             아시아현대도예전,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김해, 한국
             입주작가교류전, 홍티아트센터, 부산, 한국
             공예플랫폼, 문화역서울284, 서울, 한국
             project 'FACTUM' 유의정필승, 국립현대미술관창동창작스튜디오제1전시실, 서울, 한국
             청색예찬-BLUE展, 한국도자재단이천세라믹스창조센터, 이천, 한국
             2014 Young Revolution, ION ART gallery, 싱가포르
2013 아트앤쿡–미술을담다, 세종문화회관미술관본관, 서울, 한국
             2013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Hot Rookies, 한국도자재단이천세라믹스창조센터,이천, 한국
             드로잉, 생각의시작, pre-Drawing Biennale, MOA gallery, 헤이리, 한국
2012 흙의숨결, 한국현대도예특별전,  상원미술관, 서울, 한국
             Take out Ceramics, 한국공예문예진흥원, 서울, 한국
             홍콩.한국도예초대전, 전통과변화, 한양대학교박물관, 서울, 한국
2011 경계집단(境界集團), 인터알리아, 서울, 한국
             아시아청자展, 신뻬이(新北) 시립잉거도자박물관, 신뻬이(新北), 대만
             CERAMIC OBJECT 2011, yido gallery, 서울, 한국
2010 KIMI for You 2010 ’each & other’, KIMIart갤러리, 서울, 한국
             2010 아시아현대도예전, HoMA, 서울, 한국
             Interalia Young Artist Promotion 2010, 인터알리아, 서울, 한국
             2010관훈프로젝트’New Platform’, 관훈갤러리, 서울, 한국
             Material & Sensation, 인사아트센터, 서울, 한국
2009 韓國年輕藝術家聯展한국청년작가전, CHANG ART gallery, 북경(798), 중국
             逍遙遊소요유: 한․미․일청년작가전, 한국공예문예진흥원, 서울, 한국
             2009 BRIDGE PROJECT展, 워터게이트갤러리, 서울, 한국
             구보씨의작업실, 교하아트센터, 파주, 한국
             수궁가, 한향림갤러리, 헤이리, 한국

Award
2011 제 30 회 서울현대도예공모전 대상 ’ 수상, 서울, 한국
2013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 Hot Rookies(2013)
2018 서울문화재단 최초예술지원 기금수혜 선정작가 발표형
2014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국제교류 프로그램 인도 노마딕 레지던스 기금 수혜

Collection
노르웨이 국립장식예술 박물관(National museum of Decorative Arts)
한향림 현대도자 미술관, 서울신문사 외 다수 소장

​​2020. 12. 16 매일일보 - 17일부터 김홍식 · 배준성 · 유의정 더 트리니티 갤러리 용산 재개관 기념전
​

​2020. 12. 16 데일리카 - 더 트리니티 갤러리, 김홍식 · 배준성 · 유의정 작가의 ‘CELEBRATION’ 전시.. 특징은?

​2020. 12. 16 메트로 - 트리니티 갤러리 <CELEBRATION>展, "과거와 현재의 조화 통해 새로운 가능성 탐색"

​2020. 12. 27 K스피릿 - '복된 새해'를 기원 "CELEBRATION展" 김홍식 배준성 유의정 작가 작품

Grand Hyatt Seoul LL, 322, Sowol-ro, Yongsan-gu, Seoul, South  Korea
+82 2 6953 9879   [email protected]   © COPYRIGHT 2016 THE TRINITY.  ALL RIGHTS RESERVED.
             
  • ABOUT US
  • art + business
  • ART+ EXHIBITION
    • THE TRINITY GALLERY
    • POSCO E&C's ​ THE SHARP GALLERY
    • LG U+ ART GALLERY
    • OTHERS
  • ARTIST
  • CONTACT
  • ★ARTSY